기억에 남는 영화인데~
가끔 아파트을 보며
지금의 이 일상을 보며…
보고나서 여운이 남는 비바리움 ~
기묘하지만 의미가 있는 비바리움영화~

“Vivarium”은 ‘생물체를 위한 환경’ 또는 ‘생물관찰을 위한 장소’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입니다. 일반적으로, 동물원이나 식물원처럼, 다양한 생물들이 살거나 연구될 수 있는 인공적인 환경을 의미합니다. 즉, 생물이 살아가는 공간이라는 뜻이죠.

영화 제목의 의미
영화 “Vivarium”에서 이 단어는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가집니다. 영화에서 주인공들은 “지로”라는 이상하고 폐쇄적인 주택단지에 갇히게 되는데, 이 단지는 마치 인공적으로 조성된 생물 관찰 환경처럼 기능합니다. 즉, 주인공들이 살아가야 할 공간이 인위적이고 반복적인 특성을 가진 장소로 설정되면서, 자유롭지 못하고 갇혀 있는 느낌을 강조합니다. 영화에서의 “Vivarium”은 자유와 고립의 양면성을 상징하는 장소로, 그들의 현실을 탈출할 수 없는 감옥 같은 공간으로 묘사됩니다.
요약
• Vivarium은 원래 생물 관찰을 위한 환경을 의미합니다.
• 영화에서는 이 단어가 주인공들이 갇히게 된 비현실적이고 반복적인 환경을 표현하는 상징적 의미로 사용됩니다.

“비바리움” (Vivarium)은 2020년에 개봉한 벨기에, 덴마크, 영국의 합작 공포 SF 영화입니다. 감독은 로르칸 포일리(Lorcan Finnegan)이며, 아이자 존슨과 이모건 조이스가 주연을 맡았습니다.
줄거리
영화는 제시카(아이자 존슨)와 토마스(이모건 조이스)라는 젊은 커플이 새로운 집을 구하려고 부동산을 방문하는 장면에서 시작됩니다. 그들은 한 부동산 중개인에게 소개받은 완벽한 집을 보기 위해 외진 교외 지역에 있는 주택단지인 **‘지로’**로 가게 됩니다. 하지만 이곳은 예상과는 다르게 미로처럼 복잡한 단지이고, 돌아갈 길도 없으며, 점차 점점 더 불안한 분위기 속에서 그들은 갇히게 됩니다.
그들이 더 이상 나갈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절망적인 상황에 놓인 두 사람은 이상한 아이를 낳게 되는 등, 기이하고 비현실적인 상황에 휘말리게 됩니다. 영화는 이들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일상과 그 미로 속에서 점차적으로 탈출을 시도하는 과정을 그리며, 사회적 압박, 인간 본성, 강박 등을 다룹니다.
특징
• 장르: SF, 심리적 공포, 스릴러
• 비주얼 스타일: “비바리움”은 매우 기괴하고 독특한 미로 같은 주택 단지와 이를 둘러싼 비현실적인 환경을 묘사합니다. 이 단지는 반복적인 환경과 기묘한 색감으로 관객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 상징성: 영화는 현대 사회의 소비주의, 가족, 삶의 의미 등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반복되는 미로와 상황은 인간의 삶과 사회의 불합리함을 은유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공포와 긴장감: 심리적인 공포와 불안감을 끊임없이 자아내며, 시각적으로도 미로 같은 집과 이상한 상황들이 불안감을 증대시킵니다.
주요 테마
1. 반복되는 일상: 주인공들이 갇힌 곳은 단순히 공간적 미로일 뿐만 아니라, 그들의 삶도 끝없이 반복되는 일상에 갇혀 있다는 점에서 상징적입니다.
2. 사회적 압박과 부모의 역할: 아이를 기르며 느끼는 두려움과 책임, 부모가 되려는 강박적인 압박이 주요 테마입니다.
3. 삶의 의미와 존재에 대한 질문: 영화는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서 삶의 의미를 묻는 철학적 질문을 던지며, 인간 존재에 대한 고뇌를 탐구합니다.
반응
“비바리움”은 많은 이들에게 강렬하고 불편한 영화로 기억됩니다. 비판적인 시각과 긍정적인 평가가 엇갈리지만, 전체적으로 강렬한 시각적 요소와 불안감을 자아내는 분위기가 강한 인상을 남깁니다. 영화는 고립된 환경 속에서 정신적, 육체적으로 점차적으로 무너져가는 두 사람을 중심으로 공포를 그려내며,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 본성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영화 “비바리움”에서 색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영화의 분위기와 주제를 강조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색상은 주로 불안, 고립감, 강박적인 반복, 그리고 사회적 압박을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것 같다
1. 초록색 (Green)
초록색은 특히 주택 단지의 집들과 그 주위의 조경에 많이 사용됩니다. 초록색은 일반적으로 자연과 관련이 있지만, 이 영화에서 초록색은 불안하고 비현실적인 공간을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 상징적 의미: 초록색은 자연, 생명, 재생 등을 상징하지만, “비바리움”에서는 그것이 왜곡되고 인위적으로 관리된 공간을 나타내며, 현실의 규칙이 무너지면서 불안감을 느끼게 합니다. 특히 이 주택단지는 반복적이고 동일한 집들이 끝없이 이어져 있으며, 이는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가짜 자연이라는 느낌을 줍니다.
• 고립된 환경: 초록색은 또한 주인공들이 고립된 느낌을 강하게 표현합니다. 그들은 끝없이 반복되는 같은 집들 사이에서 빠져나갈 길을 찾지 못하고, 초록색의 복잡한 공간 속에서 점점 더 갇혀감을 느낍니다.
2. 파란색 (Blue)
파란색은 냉정함과 비인간적 느낌을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하늘과 인공적이고 비현실적인 공간을 묘사할 때 두드러집니다. 파란색은 일종의 냉정한 거리감을 나타내며, 주인공들이 자신들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없는 불안정한 상태를 강조합니다.
• 비현실적 공포: 파란색은 전체적인 비현실적 분위기를 증대시키며,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가 모호해지도록 만듭니다. 파란색은 거리감, 소외, 기계적인 환경을 강조하면서, 주인공들이 점점 더 이 세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느낌을 줍니다.
3. 흰색 (White)
흰색은 자주 등장하는 색으로, 단조롭고 고립된 세계를 상징합니다. 영화의 내부 공간(특히 집 내부)이 흰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색은 매우 정돈되고 깔끔하지만 비정상적으로 깨끗한 느낌을 줍니다.
• 무의미한 반복: 흰색은 빈 공간과 무의미한 반복을 상징하며, 영화에서 주인공들이 겪는 불안정성과 무기력함을 잘 드러냅니다. 이 깨끗한, 정돈된 공간 속에서 사람들은 아무리 노력해도 벗어날 수 없으며, 이 공간이 점점 더 구속적으로 느껴집니다.
• 아이의 상징: 영화에서 흰색은 또한 아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아이는 부모의 삶과 결합되면서 새로운 현실로 끌어들여지는데, 흰색은 이 순수하지만 위협적인 존재를 암시할 수 있습니다.
4. 노란색 (Yellow)
노란색은 불편한 경고의 색상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요구하는 상자나 그와 관련된 물건들이 노란색을 띠고 있습니다. 노란색은 일종의 위험을 알리는 색으로, 관객에게 불안정함과 위기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이상한 상황: 노란색은 영화의 설정에서 이상한 상황과 위험을 강조하는 색으로, 이는 영화 전반에 걸쳐 주인공들이 탈출 불가능한 상황에 처해 있음을 암시합니다.
5. 검은색 (Black)
검은색은 절망과 끝없는 미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미로 같은 주택 단지는 검은색을 통해 고독과 무의미한 존재를 강조합니다. 검은색은 끝없이 펼쳐진 공간과 같은 공허함을 나타내며, 주인공들이 느끼는 절망적인 고립을 반영합니다.
색의 종합적인 의미
“비바리움”에서 색은 주인공들이 겪는 불안, 고립, 절망적인 반복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색상은 영화의 주요 테마인 사회적 압박, 강박적 삶, 정체성의 위기를 강조하며, 관객에게 시각적으로도 그들의 심리적 상태를 전달합니다. 영화의 색상은 그 자체로 불편함과 왜곡된 현실을 나타내며, 주인공들이 갇혀 있는 공간의 비현실적이고 기괴한 특성을 강조합니다.


이 영화에서 아이는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영화의 주제와 감정적 긴장을 강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아이는 단순히 영화의 플롯을 이끄는 캐릭터가 아니라, 영화에서 다루는 불안, 소외감,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 등을 묘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강박과 사회적 기대
아이의 존재는 사회적 압박과 강박을 상징합니다. 주인공인 제시카와 토마스는 이 아이를 강제로 키워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아이는 그들에게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안겨주며, “부모가 되는 것”의 부담과 책임을 과도하게 강조합니다. 그러나 이 아이는 자연스럽게 태어난 것이 아니라,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진 존재이기 때문에, 그들의 본능적 부모 역할을 끊임없이 시험에 들게 만듭니다.
2. 아이와 반복되는 삶
이 아이는 그저 한 명의 애기로 등장하지만, 사실 그는 영화의 주제인 **‘반복되는 일상’**과 고립된 환경의 상징적 표현입니다. 아이는 매우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빠르게 자라고, 고통스럽게 성장하는데, 이 빠른 성장과 불안한 존재는 주인공들이 갇혀 있는 그 반복적인, 의미 없는 미로와 연결됩니다. 아이가 빠르게 성장하는 모습은 주인공들이 끊임없이 강제된 삶의 반복을 겪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그들의 시간의 흐름과 고립감을 시각적으로 드러냅니다.
3. 아이의 “비인간적” 특성
아-이의 성장은 매우 비인간적이며, 그의 행동 또한 정상적인 아이처럼 보이지 않습니다. 이 아이는 감정적 교감을 이루지 못하고,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존재로 묘사됩니다. 또한, 아기는 그들 외에도 이 비정상적인 환경에서 강제로 태어난 존재로, 영화의 불안하고 이상한 현실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이의 존재는 이 세계가 단순히 일상적인 세계가 아니라, 왜곡된 현실임을 상징합니다.
4. 아이와 ‘소유’의 개념
이아이는 사실 ‘소유’와 관련된 중요한 상징을 지닙니다. 영화에서 아이는 단순히 부모가 된다는 의미를 넘어서, 주인공들이 이 아이를 ‘소유’해야 하는 의무와 맞서 싸워야 하는 상황을 만듭니다. 이 아이는 부모에게 완전히 의존하는 존재로 그려지며, 주인공들은 그를 키우는 것을 강요당하면서, 동시에 이 사회적 규범과 강박에 갇혀 있습니다.
5. 생명과 생명의 의문
아기의 존재는 또한 생명의 본질과 생명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이 아이는 인공적으로 생성된 존재로, 그 존재 자체가 자연스럽지 않고, 비정상적입니다. 따라서 아이는 ‘인간’이 아닌 존재를 상징하며, 생명의 기원과 그 의미에 대해 질문을 던지게 합니다.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단순히 부모가 되는 것 이상의 문제로, 인간 존재의 목적과 자유 의지에 대한 깊은 고찰을 유발합니다.

만족하셨다면
하트!

